이상한나라의 헌책방에 모인 이상한 나라의 다양한 사람들과 

이상하고 재미난 수다를 맘껏 풀었더니 올해 묵은 체증이 쑥 가라앉는듯.

만나서 즐거웠습니다.^^


이상한나라의 헌책방 주인의 후기

http://www.2sangbook.com/bbs/view.php?id=2S_04&no=742



Posted by 빨간경순

Red Maria (레드 마리아) screening and Q&A with Director Kyung Soon (경순)

Red Maria (레드 마리아)The Women’s Global Solidarity Network hosted a special event on Saturday the 8th of December at the Columban Mission Center in Seoul – a screening of documentary Red Maria (레드 마리아), as well as a Q&A session with director Kyung Soon (경순).

Red Maria (레드 마리아), for the uninitiated, is a documentary addressing the plight of ‘labor’ amongst a selection of women in Korea, Japan, and The Philippines. Director Kyung Soon highlights how while the women in each respective country lead quite radically different lives, they are all subject to the same restrictions imposed upon them by patriarchy. Within The Philippines, women who are involved in the sex trade, families living in the slums, and elderly women who came forward about the atrocities committed by Japanese soldiers, are interviewed. In Japan, homeless women, care-workers, and those unjustly fired are profiled. Within Korea, female protestors, immigrant wives, and sex workers lives are conveyed. Throughout the broad selection of female lives that are documented, director Kyung Soon establishes not only the incredibly difficult situations forced upon them by patriarchal culture, but also – and perhaps more importantly – how the women find the strength and courage to fight their battles and improve their lives.

Before the film began, the director told the audience she wanted to explore the idea of women’s labor and the labels ascribed to them, and asked those in attendance to consider these areas when watching. Interestingly, she also stated that Red Maria (레드 마리아) is not a typically ‘kind’ film in reference to the themes explored within and also the critiques of patriarchal culture.

Director Kyung Soon introduces 'Red Maria' (레드 마리아)

Director Kyung Soon introduces ‘Red Maria’ (레드 마리아)

The documentary was well received by the audience, and director Kyung Soon graciously answered questions from the audience following the screening. Her answers were very kindly translated by members of the Women’s Global Solidarity Network.

Question: Thank you for making such a moving film.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belly (a recurring motif within Red Maria)? Why not the hand, or something?

Director Kyung Soon: When I was young, I was actually very interested in bellies. In Korea, we have the public bath house culture, so when I was young there were not many separate shower rooms. We had a special day for going to the bath house, and when I went there I could see all the ranges of women in terms of age. From grandmothers to really young women, I could see them all naked. When I saw my grandmother’s and mother’s belly and body it was really fun for me to touch them because they were so soft and funny feeling. As I grow older, whenever I go to the public bath house and see young women’s bellies,  I feel very sad. When I was young bellies to me meant a warm place, but nowadays it’s like a shameful part of the body. So now you see in modern Korea, in terms of dieting, women are trying to get rid of their bellies. Even though it’s a part of their body, they actually try hard to get rid of it. So when I see that kind of culture, I feel very angry about it. I still enjoy going to the bath house, but now when I see women’s bellies I feel angry about them. In my opinion, the reason why a woman is a woman is because of her belly, and how a man becomes a man is because of the penis. But men don’t do anything else with their bellies, relatively speaking, compared to a woman. Actually I think a woman’s labor starts with their belly as it is connected to the uterus and vagina. For example when we have a period this is something we need to do, and also it’s a special thing to do, but actually no-one cares or talks about this as labor. Then having sex, and delivery babies and having abortions, these are all connected to the belly and women’s labor. But with this kind of labor women can’t get any benefits in terms of money. So of course people labor with their hands, but I think fundamentally we need to look at our bellies and what bellies actually mean for our lives and how they define labor.

Question: What was your reason for choosing those three countries in particular? What did you see as the underlying connection between Korea, Japan and The Philippines?

Director Kyung Soon: Before I made Red Maria my previous work was Shocking Family (쇼킹 패밀리). It was about criticizing the concept of the Korean family. So through this film I showed the women’s role within the family, within the patriarchal culture in Korea. And for that film I was invited to Japan a lot. Before that I didn’t have many chances to go to Japan, but because of this movie I was invited 7 or 6 times and through these kinds of events I met a lot of Japanese women. As I met a lot of Japanese women I was quite shocked to find the reality they faced in their own country. In Korea when we talk about the low birth rate, the Korean media always describes Japan as a very successful country that got over the low birth rate. But what I found out was that these Japanese women had the same problems that Korean women face. Also in Japan, even though it is a very wealthy country there is a really strong social order in Japan and that kind of culture makes women feel very suffocated. So when Japanese women go on strike or struggle in their work places or with their family they don’t have the spaces to make or build solidarity with other people. So when you see my film you can see Sato, the Japanese woman who was working hard, struggling and on strike by herself. What I actually saw in Japan was that they need some communication channels among people – among women – who are struggling. What I felt as I met these women, whether they live in wealthy countries or poor countries their problems are very similar and they share a lot of common things in terms of their struggles. Maybe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r example if you are living in a wealthy country you might wear more expensive clothing, or eating better food, but  still I think the fundamental problems women share are very common. And the reason I chose the three countries are that you can see the poor countries and the wealthy countrie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women’s labors. We can see their problems within the specific country’s cultural context, so that’s why I chose these three countries. And I also think women’s lives have not been dramatically changed except for the invention of the electronic cooker and washing machine. The reason that I chose The Philippines was because although there are a lot of migrant women who came to live in Korea, I actually found many of them were Filipino. So I didn’t really know much about The Philippines. But in 2007 I went to The Philippine and lived there for a year, and to learn their culture and study. From 2008 I started filming this film. And also when you are watching you can see these three countries share a similar history, for example how Korea was colonized and The Philippines was effected by the imperialism, and you can see the female victims of the war.

Director Kyung Soon answers questions from the audience

Director Kyung Soon answers questions from the audience

Question: First I’d like to thank you for the film, I really enjoyed it. One of things I found interesting was how it is difficult to gain self-realization through work. As a female laborer, I thought you showed the difficulties well how difficult it is to gain self-realization through labor. Because the work we can do, the work we want to do, is very limited. But at the same time, it might actually be a common problem for all the people who work in this world. So in that context,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kind of problem?

Director Kyung Soon: As capitalism grows bigger and bigger, and the internet becomes really accessible don’t we share a lot of information together? But I think it’s very much marginalizing the actual problem. You can see all the incidents, events and access all the information easily. There are so many things of interest. Is this something you need to seriously consider or think about? For example, what does ‘liberal’ mean? What does the term mean to us? We rarely think about labor. When we look for the definition of ‘labor’ in the dictionary it is defined based on payment without really considering what labor really means. So when you think about labor in this way, you can look back and think about the labor that you were doing that didn’t involve getting paid. Then in this context, or this definition, we can’t enlarge the meaning of labor. So if labor is only based on payment, or the amount of payment, then if you earn a lot of money you might think that you reached the top of self-realization earlier than other people. But if you earn five grand a month or a grand a month, people still face the same difficulties. Because the person who earns five grand tries to pay off their mortgage debt, but the person who earns a grand a month have to pay their monthly bill for their house. So I actually think everyone is getting poorer in this society. I think we can’t just divide people like this. I think we are all connected. What I want to say is that self-realization can’t be measured based on the payment you receive from work. I think the answer that I want to show through the film is that we should make the world for the people who only earn a grand but that they are still able to gain their self-realization. The way each person lives seems very challenging within society but I think it’s a very fundamental question you need to ask yourselves. One thing that I want to add here is that in Korea we have a proverb that unemployed people can die due to overworking and stress, which means that even though they are unemployed they still have a lot of things to do. Which shows that being unemployed is only based on capitalism. So you don’t get any money, but you still do a lot of things. For example, people can volunteer. They don’t get paid to do that, but actually through volunteering they can gain self-realization. Therefore if we only look at labor in relation to payment or money, you can’t enlarge the meaning of the word ‘labor’ anymore. So this capitalist society drives the people not to ask this kind of question about labor, only to think about labor in relation to payment.

Thank you to Mik young Kim and the other members of the Women’s Global Solidarity Network for hosting the event, and to the Columban Mission Center for providing the venue.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7. 10. 13:17

[연합뉴스] 기사원문보기 >>

 

 

 

 

 

'여성 그리고 가족'..원주여성문화제 12~16일 열려


 

 

 

 

'2012 원주여성영화제'가 12~16일 원주영상미디어센터 상영관에서 열린다.

 

'여성 그리고 가족'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영화제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를 함께 보고 즐기는 문화의 장으로 원주지역의 여성들이 영화제 준비에 직접 참여해 의미를 더하고 있다.

 

상영되는 '간지들의 하루', '레드마리아', '열일곱, 그리고 여름', '행복엄마의 오디세이', '숨' 등이다.

 

또 원주 여성감독 작품전(원주여성들의 단편 영화 모음)도 진행된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상영 후 감독과의 대화시간도 마련된다.

 

 

 

 

 

 

>> 기사전체보기

 

>> 원주여성영화제 <레드마리아> 상영 자세히 보러가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6. 29. 14:00

[한겨레21] 기사원문보기 >>

 

 

 

 

 

 

 

“나는 스스로 성매매를 선택했다”

 

사진 한겨레21 정용일 기자

 

 

 

 

성노동자 4명 자신의 노동을 말하다…
“‘창녀’라는 낙인에서 구해준 것은 탈성매매가 아니라 노동자라는 자각이었다”

 

지난해 11월 제2회 광주국제영화제에서 작은 소란이 일었다. 여성의 몸과 노동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레드 마리아> 상영회에 스스로를 ‘성노동자’라고 밝힌 성매매에 종사하는 여성이 토론자로 나온 날이었다. 앞줄에 앉은 여성단체 회원들이 성매매 업소의 해악과 단속에 대한 질문을 퍼부었다. 급기야 <레드 마리아> 경순 감독이 “당사자가 성노동자라고 하는데 그렇게 불러주는 게 예의 아니냐”고 질문자에게 따져물었다. 토론장에 싸늘한 냉기가 감돌았다. 토론회는 “성노동이 그렇게 좋다면 감독님 딸도 시키실 거냐”는 누군가의 막말과 함께 끝났다. 경순 감독은 그날을 이렇게 회고했다. “그들은 성노동자는 쳐다보지도 않고 내게만 질문했다. 성노동을 근절해야 한다는 이야기만 했다. 성노동자를 칭할 때는 ‘자신을 성노동자라고 말하는 사람’ 식으로 토론장에 없는 사람 취급을 했다.”

 

2004년 9월23일 성매매방지특별법 시행 이후 여성주의 내부에서 ‘성노동’이라는, 한국 사회에선 아직 낯선 단어가 등장했다. ‘성노동’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논쟁적이다. “성매매는 사람의 신체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 관계”(2009고단 3339호 판결문)라는 사법적 개념 규정과 달리, 돈을 받고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의 일을 ‘노동’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성매매 여성들의 탈성매매화에 애쓰지 않고 성매매를 용인하는 거 아니냐는 인상도 풍긴다. 성매매를 근절할 수 없으니 ‘필요악’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은 현실적이라기보다 무기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위와 현실 사이에서 탈출구를 찾지 못하는 이 문제를 어찌해야 할까.

 

성노동자 권리모임 ‘GG’의 활동가와 성노동자들, 영화감독을 만났다. 이들 중 3명은 성매매에 종사하는 현직 성노동자다. 이들은 자신의 노동조건과 환경을 밝히고 “노동자로서 일하고 스스로를 조직할 권리”를 주장한다. 이들의 성노동 기간이 길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해 서울 영등포 성매매집결지에서 오랫동안 일해온 성노동자도 전화로 인터뷰했다. 성매매특별법 제정 당시 “내가 성 판매 여성의 사례를 접했다면 어떤 현장에서 경험한 것인가, 이에 대한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한다. 여성의 성 판매 경험은 동일한 강도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여성주의 내의 성찰은 이 인터뷰에도 적용돼야 할 것이다. 단서가 필요하다. 서울과 수도권에서 성노동자로 일하는 이들 4명이 밝힌 개인적 경험이 전국 모든 성매매 업장에 적용될 수 없음을 밝힌다. 이 기사에서는 당사자들의 의견을 존중해 ‘성매매 여성’이라는 일반화된 표현이 아닌 ‘성노동자’라는 개념을 사용한다.-편집자

 

피해자 또는 범법자. 성매매 여성이라 부르든, 성노동자라고 하든 결국 사회의 합법적 울타리 밖의 존재라는 점은 매한가지다. 그러나 둘 사이 인식의 간극은 크다. 사정이 이런데도 “나는 자발적으로 성매매를 선택했다”고 세상을 향해 공개적으로 외치는 이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트위터와 블로그로 성노동자의 일상과 활동을 생중계한다. 매너가 형편없는 ‘진상 손님’ 이야기도 하고, 성매매특별법 폐지 주장도 하고, 다른 노동운동에 연대를 호소하기도 한다. 6월 말부터는 성노동자를 대상으로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음원방송을 할 예정이다. 일하며 느낀 애환과 정보를 담는 방송이다. 이들은 성노동자 권리모임 ‘GG’의 회원이다. GG는 성매매특별법 시행 이후 집창촌 재개발과 성매매 단속에 항의해 민주성노동자연대(민성노련)와 성노동운동네트워크 활동가들이 결성한 단체다. GG의 다른 활동가와 연구자들은 성노동자가 합법적으로 일할 권리를 확보하려고 ‘성매매특별법 폐지 헌법소원’을 추진하고 있다.

 

‘왜 성노동을 시작했느냐’ 너무 간단한 질문

 

성매매 집결지에서 성노동의 권리를 주장하는 시위를 하는 ‘자발적 성매매 여성들’에게는 ‘포주의 사주를 받았냐’는 의심이 늘 따라붙는다. 그렇지 않더라도 이들의 성매매가 ‘자발적이 아니라 환경 탓’이라거나 ‘다른 직업을 찾도록 도와야 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2004년 성매매특별법 입법 과정부터 지금까지 성매매 당사자인 그들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들어보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지난 5월9일 서울에서 열린 다큐멘터리 영화 <레드 마리아> 공개상영회를 포함해 세 차례에 걸쳐 이들을 인터뷰했다. ‘자발적’으로 성매매를 시작하게 된 계기, 이들의 ‘노동’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왜 성노동을 시작했느냐’는 질문은, 성매매에 인격을 결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당연하고도 중요한 질문이다. 이들에겐 그렇지 않다. 답은 그저 ‘돈이 없어서’다. 일을 시작한 지 2주 정도 됐다는 미나씨는 대학 휴학생이란다. 생활비를 벌려고 바와 커피숍에서 오랫동안 일했다. 바에 다닐 때도 교통비가 없어 생활이 어려웠다. 다니던 바가 문을 닫고 두 달 월급을 못 받으니 전기료부터 월세까지 밀렸다.

 

성노동을 하는 데는 큰 결심이 필요치 않았다. “주변에서 성노동을 하는 사람들을 만나서 내가 성에 대해 지니고 있던 시선, 자기검열이나 가부장적 시선을 떨쳤기 때문에 거부감이 없었어요.” 미나씨는 주 2회는 ‘오피’라고 불리는 오피스텔 성매매 업소에 나간다. 성노동자들끼리만 공유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가서 업소를 알아보고 면접을 봤다. 일주일 중 하루는 페티시방(다양한 물건이나 행위로 성적 쾌감을 추구하는 곳)에 나간다. 7월부터는 주 4일간 바에서도 일할 예정이다. 그렇게 돈을 모아 다시 공부할 계획이다.

 

혜리씨는 이혼 뒤 아이 둘을 키워야 했다.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았다. 아이들이 어린이집에 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식당에서 일하기도 했다. 시급이 7천원이었는데, 빚은 늘기만 했다. 일주일에 이틀 정도 성노동을 나가니 벌이가 조금 나아졌다. 그래도 모자란다. 얼마 전부터는 한 성매매 집결지에 있는 업소에서 일주일에 나흘씩 일하고 있다.

성노동 경력 4년차인 연희씨는 애초 대학을 다니며 밤에 할 일을 찾았다. 면접을 보러갔는데 이야기를 들어도 무슨 일을 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무작정 따라갔다. 서울 길음역 10번 출구, 속칭 ‘미아리텍사스’였다. 어리바리 정신없이 하루 일을 했는데 가게 사람들이 좋아서 계속 있게 됐단다.

 

“성상품화보다 감정상품화가 더 무서워요”

 

밀사씨는 대학 수업 시간에 성매매특별법 홍보 영상을 봤다. 탈성매매 여성이 “지금 하는 일이 성노동보다 버는 돈은 적지만 돈의 가치가 다르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의문이 생겼다. ‘왜 거기서 버는 돈은 천하게 여겨져야 하는 걸까?’ 그래서 직접 해보기로 결심했단다. 그는 한 달 동안 조건만남 등의 사이트를 통해 성매매를 체험했다. 자신이 겪은 ‘성노동 실험’을 인터넷에 올리기도 했다. “모든 사람에게 ‘성노동을 긍정하라’고 할 수는 없어요. 하지만 성매매에 대한 혐오가 차별로 이어지거나 타인을 배제하는 쪽으로 흐른다면 그건 나쁘다고 생각해요.”

 

성노동자들도 애인이 있다. “몸만 대주는 것과 사랑을 명확히 구별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른바 ‘정조’를 중시하는 이들이 아직도 적잖고 성을 인간의 존엄성과 연관짓는 사회에서 어떻게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있을까.

 

연희씨는 이렇게 말했다. “처음엔 내가 개처럼 느껴졌다. 사회적 낙인이 체화된 결과다. 괜히 밖에 나가기가 힘들었다. 그러다 동물을 워낙 좋아해서 낮에는 동물병원에서 수의테크니션(수의 간호사)으로 일하며 ‘낮이나 밤이나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고 생각하니까 일이 잘되더라. 생각을 바꾸니 돈도 꽤 모으고 조금 더 건강한 방향으로 살게 됐다.” 학원 강사로도, 빵집에서 일한 적도 있다고 했다. 그런데 마음이 너무 힘들었단다. “친절에 대한 강박이 너무 심한 거예요. 웃어야 학생이나 손님이 더 온다고. 웹디자이너로 일할 때도 그랬어요. 지식을 활용한 노동을 할 때도 지나친 감정노동까지 요구하죠. 저는 성상품화보다 감정노동 상품화가 더 무서워요. 여기선 그냥 일만 하면 돼요. 저는 오히려 직업을 잘 찾은 거예요.”

 

“처음엔 내가 개처럼 느껴졌다. 사회적 낙인이 체화된 결과다. 괜히 밖에 나가기가 힘들었다.”-연희씨

 

미나씨도 의견이 다르지 않다. “저는 오히려 바에서 일할 때 제 일이 싫었어요. 서비스 업종은 대부분 성노동 측면이 있는 것 같아요. 육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 성노동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아이돌도 노래만 만드는 게 아니라 섹슈얼리티를 전시하잖아요. 성적 대상화라든가 섹슈얼리티를 파는 것 아닐까요. 성노동도 노동임을 긍정하기 시작하자, 직업의 귀천을 가르는 게 자본이고 가부장적인 사회였구나 생각했죠.”

 

요컨대 이들은 성노동이 특별히 좋은 일이라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그저 다른 임노동보다 특별히 더 나쁠 것도 없다는 자신들의 생각도 들어봐달라는 것이다. 의상 디자이너였던 혜리씨에겐 가끔 봉제일이 들어오는데 거절한단다. 당장 형편이 아쉬워도 디자이너로서 독창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기술을 생각 없이 이용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했단다. 정작 하고 싶은 일은 하지 못하고 엉뚱한 분야에서‘하청업자’노릇을 하기는 싫다는 것이다. <레드 마리아>를 만든 경순 감독이 영화 제작비를 벌려고 신문 배달을 마다 하지 않으면서도 방송일은 정말 하기 싫다던 것과 크게 다를 게 없을 수 있다.

혜리씨는 밤에는 일하고 아이들을 돌보며 일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어서 지금의 성노동에 만족한다고 했다. 성노동자들은 아이를 낳으면 보육원이나 다른 곳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 일이 힘든 때문도 있지만 성노동자라는 사실이 알려졌을 때 아이들까지 사회적 낙인에 시달리까봐 걱정해서다.

 

부모에게도 ‘커밍아웃’할 수 있었던 이유

 

이들을 ‘창녀’라는 낙인에서 구해준 것은 탈성매매가 아니었다. 노동자라는 자각이었다. “처음에는 내가 당사자니까 상황을 합리화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성노동’이라는 말을 접하곤 이거다 싶었죠. 자존감이 생겼어요.”(연희) 연희씨는 부모에게 ‘커밍아웃’했다.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더 당당해지고 스스로를 사항하고 싶었다.

 

세상은 이들이 성노동자로서 자존감을 지키고 살아갈 수 있는 곳일까. 구체적 노동 환경을 물어보았다. 이들은 성매매 집결지인 ‘집창촌’이 성노동자에게 오히려 낫다고 했다. “미아리텍사스에 처음 갔을 때 모든 아가씨가 업주한테 ‘엄마’ 아니면 ‘이모야’ 이렇게 부르더라고요. 다른 노동과 좀 달라요. 울고, 가족한테 못할 말 하고.” 연희씨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성매매특별법으로 업주와 알선자들에 대한 처벌이 대폭 강화되자 조폭 등 관련 인력들은 거의 다 빠져나갔고, 오히려 성매매 여성의 목소리가 커졌다”고 말한 적이 있다.

 

‘집창촌’의 분배 구조는 대개 비슷하단다. 손님은 40분에 10만원을 내는데 성매매 여성은 그중 6만~7만원을 받는다. 업주는 대체로 가게를 유지하고 호객을 한 뒤에 문밖에서 손님이 폭력을 행사하는지 관찰하는 일을 한단다. 이들이 전하는 말에 따르면, 서울 강남의 관행은 성매매 여성에게 불리하다. 특히 안마업소가 부당하게 많이 가져가는데 손님이 21만원을 내면 성매매 여성이 받는 돈은 9만원이다. 안마업소에 오래 머무는 여성들은 대부분 빚 때문이란다.

 

성노동자는 폭력을 당할 위험이 크다는 세간의 추측은 대체로 사실인 듯하다. 성폭행을 당하기도 한단다. 혜리씨는 얼마 전 이들이 ‘인테리어’라고 부르는, 성기 성형을 한 손님을 거절했다. 몸싸움이 시작됐다. 맞기 직전에 업주가 방문을 열었다. 문제는 폭력을 당해도 성매매가 범법행위라 어디에도 하소연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실컷 다 해놓고 환불해달라고 하는 손님도 있어요. 돈 안 돌려주면 신고하겠다고.”

 

서울 영등포에서 7년 동안 일한 세희씨는 성매매특별법 시행 이후 성산업이 음성화된 탓에 성노동자가 더 위험해졌다고 했다. “집창촌은 폭력적인 손님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도 있고 얼굴을 확인하고 들어오는 거라 함부로 해코지를 못해요.” 오피스텔 성매매처럼 고립된 방에서 이루어지는 성매매가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오후 8시부터 새벽 5시까지 오피스텔에서 일하는 미나씨도 “처음엔 손님들이 무서웠다”고 했다. “지금은 손님들이 안쓰러워요. 만나보니 그냥 평범하고 외로운 사람들이라 측은지심이 생기더라고요.” 물론 이들의 사례가 다는 아니다. 지금도 어느 곳에서 감금이나 청소년 성매매가 이루어질지는 그들도 모르는 일이다.

 

“국가가 우릴 지키려고 성매매를 금지할까요?”

 

“국가가 우리를 지켜주려고 성매매를 금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세희) 이들에게 국가는 처벌자·압제자의 이미지가 강한 듯했다. 고정갑희 한신대 교수(영문학)는 성매매특별법 제정에 맞서 “성매매의 비범죄화와 자치조직, 그리고 성매매를 노동으로 인정하자”는 대안을 낸 적이 있다. 이들이 노동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이유는 “이주노동의 자유, 노동운동의 자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자유, 직업으로 성노동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 법에 의해 보호받을 자유,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가입할 자유,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차별과 낙인으로부터의 자유”를 원하기 때문이다.성매매에도 이주노동의 자유를 인정해야 할까. 성매매특별법 시행 이후 많은 성노동자가 외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성노동은 노동이고 우리는 우리의 일을 선택할 권리가 있으며 두려움과 괴롭힘 없이 우리의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 호주 스칼렛 얼라이언스· 한국 GG가 공동으로 발표할 성명

 

성노동자들의 국제 연대 움직임도 꿈틀대고 있다. 7월21~26일 인도 콜카타에서 성노동자 축제가 열린다. 미국 정부가 자국에서 열리는 에이즈 콘퍼런스에 참여하려는 성노동자의 입국을 금지한 것에 항의하는 행사다. GG는 성노동자 축제에 참가하려고 사회적 기부 사이트인 소셜펀치(www.socialfunch.org/sxsspace)에서 기부를 받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성노동자 단체 ‘스칼렛 얼라이언스’는 ‘한국인 성노동자들의 현실을 알리기 위한 성명’을 보내왔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현지 한인 성매매 여성 명단 파악에 나섰다는 보도는 거짓”이라며 “오스트레일리아 연방경찰은 한국 정부의 관리가 작업장에 와서 성노동자를 괴롭히거나 이름을 대라고 하면 지역 경찰에 신고하거나 지역 성노동자 단체로 연락하라고 당부했다”는 것이다. 이들의 설명에 따르면 성매매가 합법화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정부가 성노동자 명단을 공개하는 것은 불법이다. “성노동은 노동이고 우리는 우리의 일을 선택할 권리가 있으며 두려움과 괴롭힘 없이 우리의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 스칼렛 얼라이언스와 GG가 공동으로 발표할 성명의 한 대목이다.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6. 29. 12:26

[한겨레] 기사원문보기 >>

 

 

 

 

 

스크린, ‘일상의 폭력’서 평화를 묻다

 

 

 


내일 부산평화영화제 개막
개막작 ‘작별들’ 등 9편 상영


부산어린이어깨동무(이사장 구자신)는 29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제3회 부산평화영화제를 해운대구 센텀시티 안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연다.

 

‘일상화된 폭력의 작은 기억들’이라는 주제로 학교와 가정, 직장,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심각성을 다룬 영화 9편을 상영한다. 개막작 <작별들>(사진)은 조선족 남매의 삶을 다뤘으며, 폐막작 <소중한 날의 꿈>은 11년에 걸쳐 감독이 직접 그려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한 소녀의 감성을 맑고 애잔하게 담은 화제작이다. 두 작품은 상영 뒤 감독과 함께하는 시간도 가진다.

 

노동계급 여성들의 삶을 보여주는 <레드 마리아>, 폭력과 비폭력의 순환 속에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세상을 아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소망을 담은 <인 어 베러 월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그린 잔혹스릴러 애니메이션 <돼지의 왕>, 도덕적 이상과 직업적 신념 사이에서 갈등하는 저널리스트의 이야기를 담은 <마이 백 페이지>, 진정한 위로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디어 한나>, 감독이 건네주는 마음의 치료제 <컬러풀>이 상영된다. 특히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제주 강정마을을 바라보는 여덟 개의 시선이 담긴 다큐멘터리 <잼 다큐(Jam Docu) 강정>이 열린 공간에서 상영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어린이어깨동무는 북녘 어린이들을 위한 의료·영양 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지역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평화교육과 문화 사업도 펼치고 있다.

 

박홍운 운영위원장(부산대 교수)은 “우리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폭력을 통해 평화의 가치를 다시금 생각해보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영화제를 시민들과 함께하는 축제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람료는 무료. (051)819-7942.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6. 25. 14:01

[뉴시스] 기사원문보기 >>

 

 

 

 

 

부산어린이어깨동무, 29일부터 제3회 평화영화제

 

 

 

 

 

 

 

'부산어린이어깨동무'는 오는 29일부터 내달 1일까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제3회 부산평화영화제'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일상화된 폭력의 작은 기억들'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평화영화제에서는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된 학교폭력을 비롯해 성, 가정, 직장, 국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문제를 다룬 영화 9편을 무료로 상영한다.

 

먼저, 29일 오후 1시 노동계급 여성들의 삶을 보여주는 경순 감독의 '레드 마리아'를 상영을 시작으로 막을 여는 이번 영화제는 오루 6시 개막식을 가진 뒤 김백준 감독의 '작별들'을 개막작으로 상영한다. 폐막작은 안재훈 감독의 '소중한 날의 꿈'을 7월1일 오후 3시30분에 상영한다.

 

개막작 '작별들'은 조선족 남매의 삶을 다룬 작품으로, 이 땅의 소외된 존재들에게 감독이 보내는 따뜻한 메시지다. 폐막작 '소중한 날의 꿈'은 11년에 걸쳐 감독이 손수 그려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한 소녀의 감성이 맑고 애잔하게 그려진 화제작이다.

개막작과 폐막작 상영 후에는 감독과 관객이 함께 하는 소통의 시간도 마련된다.

 

이와 함께 폭력과 비폭력의 순환 속에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세상을 아이들에게 전하고픈 소망을 담은 '인 어 베러 월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그린 잔혹스릴러 애니메이션 '돼지의 왕',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제주 강정마을을 바라보는 여덟 개의 시선이 담긴 다큐멘터리 'Jam Docu 강정', 도덕적 이상과 직업적 신념 사이에서 갈등하는 저널리스트의 이야기를 담은 '마이 백 페이지', 진정한 위로란 무엇일까 질문을 던지는 '디어 한나', 하라 게이이치 감독이 건네주는 마음의 치료제 '컬러풀' 등도 소개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bsokedongmu.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051-819-7942)

 

박홍원 운영위원장(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은 "이번 평화영화제는 서로 차이를 존중하고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시민들과 함께하는 축제의 장으로 평화영화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어린이어깨동무는 북녘어린이를 위한 의료.영양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며, 부산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평화교육.문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한겨레] 기사원문보기 >>

 

 

 

 

 

 

트위플의 선택

 

 

 


영화·뮤지컬·연극
작품명·트위트 건수, 5월25~31일
(자료 제공: 유저스토리랩)

 


(중략)

 

 

레드 마리아 110건

 

<21B3> 조용하고 낮은 목소리로, 여자로 살아간다는 것을, 내가 서 있는 자리를 확인해보게 만드는 영화. 슬프지만 쓸쓸하지 않고 고통스럽지만 마냥 가엾지 않은 것은 여자는 이미 우주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lois_s***

 

<21B3> 우리는 여자의 삶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을까요? 한국과 일본, 필리핀을 돌며 만난 다양한 여성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의미 있는 작품입니다. @songcin***

 


(후략)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일간연예스포츠] 기사원문보기 >>

 

 

 

 

 

민간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재개관, 영화인들 한자리에!

독립영화인, 관객들의 새로운 둥지.
민간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역사적 재개관!

 

 

 

 

 

 

드디어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가 다시 문을 열었다. 사단법인 독립영화전용관 확대를 위한 시민모임(이사장 김동원)은 오늘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의 재개관식을 연다. 2009년 12월 인디스페이스의 휴관 이후 2년 반 만에 이루어진 쾌거.

 

지난 5월 24일부터 오픈 이벤트 및 재개관 시범운영을 해온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관장 안정숙)는 오늘 민간 독립영화전용관 설립 추진을 함께 해온 발기인과 나눔자리, 주춧돌 후원회원들과 함께 인디스페이스 재개관식을 열고 새로운 출발을 다짐한다. 민간의 자발적인 후원금으로 만들어진 독립영화전용관이기에 그 의미가 더욱 깊은 인디스페이스는 독립영화의 안정적인 상영 공간으로서 그리고 독립영화 관객 커뮤니티의 공간으로 발돋움할 예정이다.

 

인디스페이스 홍보대사 이제훈, 나눔자리 후원회원 안성기 참석

 

이번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의 재개관식에는 영화인 모두의 축제의 한마당으로 2010년부터 추진위원으로 활동하며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재개관에 중추적 역할을 일임했던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을 비롯하여 김동원 이사장, 안정숙 관장 함께하며, 특히 종로구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독립영화전용관이니 만큼 김영종 종로구청장도 참석하여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또한 나눔자리 후원회원으로 참여한 배우 안성기와 인디스페이스의 1기 홍보대사인 이제훈이 참석하여,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의 재개관을 함께 축하하며, 이 밖에도 독립영화인, 영화인들이 함께한다.

 

인디스페이스의 재개관식의 사회는 지난해 영화 <화차>로 큰 반향을 일으킨 변영주 감독과 2007년 개관식 때 이미 사회를 본 <후회하지 않아>, <백야>의 이송희일 감독이 맡고, 2011년 1집 ‘음악가 자신의 노래’를 발표한 김목인이 개관식 공연으로 축하의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인디스페이스는 재개관식 이후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가며 현재 개봉중인 독립영화 <U.F.O>(감독 공귀현)와 <레드마리아>(감독 경순), <어머니>가 상영되고,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된 <돼지의 왕>(감독 연상호)이 재개봉되어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 기사전체보기

 

 

 

 

 

 

 

*

다시 돌아온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에서 <레드마리아>가 개봉상영되고 있습니다!

매회 첫 관객 선착순 2인에게 <레드마리아> OST CD(한정판)을 증정하는 이벤트까지!

인디스페이스에서 만나요:D

 

>> 시간표 보러가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5. 21. 16:01

 

[오마이뉴스] 기사원문보기 >>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 개관...강원도의 힘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 18일 개관...강원도 최초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16년 시네마테크 운동이 강원도 최초 독립예술극장으로 결실을 맺었다. 강원도의 힘이었다. 이제는 굳이 서울이나 부산 등 대도시에 가지 않더라도 지역에서 독립예술영화를 볼 수 있다는 사실에 시네마테크 회원들의 표정은 들뜬 모습이었다. 역사가 깃든 영화관은 깔끔한 모습으로 변신해 관객들을 맞이했다.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이 18일 저녁 개관식을 갖고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중소도시에서 독립예술영화 전용관이 생긴 것 자체가 특별하지만 오랜 시간 지역에서 활동해 오던 시네마테크 동호회가 자체적으로 극장까지 개관했다는 점에서 여타 극장들의 개관보다 의미가 컸다.

 

18일 개관식에는 지역 독립영화 관계자들 뿐만 아니라 서울의 독립영화관 관계자들까지 먼 길을 달려와 극장의 개관을 축하했다. 첫 작품으로 상영된 <말하는 건축가>의 정재은 감독도 직접 극장을 찾아와 개관을 축하하고 관객들과 대화를 나눴다.

 

지방도시에서 독립예술극장 만든 시네마테크의 힘

 

작은 지방도시의 독립예술전용극장 개관이 주목되는 것은 시네마테크 회원들의 힘으로 극장이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상업자본이 아닌 민간의 노력이 극장 개관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중략)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은 자원봉사자들 중심으로 운영되며, 정동진독립영화제를 비롯한 지역에서 펼치고 있는 독립영화 활동의 기반 역할을 할 예정이다. 개관 기념으로 <레드마리아> <아르마딜로> 등 최근 개봉된 주요 독립영화들을 상영한다.

 

한편, 서울의 민간독립영화전용관인 인디스페이스도 오는 29일 개관해 강릉과 함께 민간 전용관 시대를 활짝 연다.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
<레드마리아>2012/News2012. 5. 18. 11:22

 

[매일노동뉴스] 기사원문보기 >>

 

 

 

 

 

 

[쌍용차 문제 해결을 위한 연속기고 3]

나영(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사무국장)

“여기 사람이 있다”는 절규가 끊이지 않는 길 위에서

 

 

 

 

 

 

 

영화 ‘레드마리아’의 한 장면. 일본의 전자회사 파나소닉에서 18년 동안이나 파견노동자로 열심히 일했지만 어느 날 갑자기 부당하게 해고된 여성노동자 사토씨가 회사 앞에서 홀로 마이크를 잡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호소한다. “여러분 앞에 이렇게 서 있는 저도 여러분과 똑같은 일상을 살고 있는 사람”이라고. “여러분과 똑같이 오늘 먹을 음식을 걱정하고, 자녀들을 키우는 사람”이라고. 하지만 해고와 함께 그녀의 평범한 일상은 무너졌다. 그녀는 자신이 다른 이들과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계속해서 싸워야 했다.

 

2009년 용산참사의 잔혹한 현장에서 “여기 사람이 있다”는 외침은 불길 속에 휩싸이고, 군홧발에 짓밟혔다. 그 현장에서 외쳐졌던 “사람이 있다”라는 절규는 사실 그대로 그곳에 살아 숨쉬는, 당신들과 다를 바 없는 ‘사람’이 있다는 간절한 호소였다. 하지만 작전대로 진압을 수행하는 경찰들에게 그곳에 있는 이들은 이미 ‘사람’이 아니었다.

같은해 쌍용자동차 공장에서 똑같은 사태가 벌어졌다. 공장을 점거한 노동자들은 누구도 ‘사람’으로 취급되지 않았다. 전기도 물도 끊긴 상태에서 무차별한 폭력으로 온몸에 상처를 입고도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을 수 없었다. 하지만 정부와 경영진·경찰들은 그런 상황 따위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들이 보기에 공장 안의 노동자들은 그저 '하루빨리 치워 버려야 할', '저것들'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3년이 지났다. 당시에 사람이 아닌 ‘저것들’로 취급됐던 해고노동자들은 싸움이 끝난 후엔 ‘유령’이 됐다. 분명히 이 세상 속에서 함께 숨을 쉬며 살아가고 있었지만 아무도 그들의 존재를 신경 쓰지 않았다. 이들 역시 일을 하고, 돈을 벌어서,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마련하고, 다른 이들과 똑같이 밥도 먹고, 옷도 입고, 함께 사는 사람들과 일상을 꾸려 나가야 할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아무도 이들에게 이러한 일상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회사는 약속을 쓰레기처럼 내팽개쳤다. 쌍용차 해고자라는 이유로 취직조차 할 수 없었다. 정부와 회사는 가압류를 통해 이들이 이 세상에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가능성조차 철저하게 단절시켜 버렸다. 그리고 그렇게 인간이 아닌 유령으로 살아가야 했던 이들은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그때서야 비로소 자신이 생명을 지닌 ‘인간’이었음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더욱 고통스러운 것은, 이 처절한 증명조차 한 명의 죽음만으로는 부족했다는 사실이다. 그 당연한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무려 22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죽어 나가야 했던 것이다.

 

18일은 스물두 번째 ‘사람’의 49재 추모일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들이 ‘사람’이라는 사실을 외면하고 있는 정부와 경영진은 아무런 대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매일 평택의 공장 앞과 대한문 앞에서 그들이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사람’임을 기억하고, 함께 그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는 이들이 마음과 뜻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49재가 지나고 또다시 사람들의 기억에서 서서히 잊힌다면 이들은 언제고 다시 스스로 사람임을 증명하기 위해 목숨을 던져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작, 자신이 사람임을 증명해야 하는 이들은 권력과 이윤을 위해서라면 누군가의 소중한 삶과 생명조차 아무렇지 않게 짓밟을 수 있는 이 사태의 책임자들이다. 이제 우리는 그들에게 그 증명을 요구해야 한다. 죽음의 행렬을 멈추게 해야 할 당사자들은 쌍용차에서 해고된 노동자들이 아니라 당신들이라고, 당장 모든 손해배상·가압류를 철회하고 이들을 삶의 현장으로 돌려보내라고 외치며 함께 싸워야 한다. 너무 늦은 것 같아도 아직 늦지 않았다. 아직 더 많은 함께할 ‘사람’들이 이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몇 번의 눈물이 아니라 한 번의 발걸음이 필요한 때다.

 

 

 

 

 

>> 기사전체보기

 




 

 

 

레드마리아 Red Maria

2011┃HD┃98min┃Documentary┃color┃16:9┃Dolby 5.12012.04.26 개봉!

 

 

SYNOPSIS 

 

한국, 일본, 필리핀에서 만난 레드마리아, 

 

당찬 그녀들의 거침 없는 생활사!

 

 

나(감독)는 많은 여자들을 만났다.

각기 다른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녀들.

 

결혼 10년 만에 친정을 방문한 이주 여성 제나린,

50년이 지나서야 진실을 밝힐 용기를 얻었다는 위안부 할머니 리타,

열여섯 어린 나이에 아빠 없는 딸을 낳은 성 노동자 클롯,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비정규직 노동자 종희,

일하지 않을 권리를 즐겁게 행사하는 도쿄 홈리스 이치무라,

24시간 일하는 가사 노동자는 물론, 철거 위기에 놓인 빈민 지역 여성들까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다, 한 가지 질문에 도달했다.

어떻게 서로 다른 노동이 그토록 비슷한 방식으로 ‘몸’에 연결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작정하고 그녀들의 ‘배’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주름지고 짓무른, 삶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그 ‘배’로부터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Contact

 

Facebook.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Twitter. <레드마리아> 경순 감독  @redkyungsoon
           시네마 달 
@cinemadal

 

Blog. http://redmaria.tistory.com/

 

 

Posted by 빨간경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