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을 열기까지는 그누구도 관심이 없다가 개봉이 되어서야 그것도 개봉된 몇편의 영화들 중 좀 뜬다하는
영화만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비평이든 호평이든 반응이 있다.
그러니 그런 반응은 고사하고 이런 영화가 있었는지도 모르는체
제작을 묵묵히 하는 수많은 감독들은 외롭다.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다 해야하는 이 구조는
그래서 치열하고 고통스럽고 눈물나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독립영화라는건 그래서 또 참 재밌는 영역이기도 하다.
그만큼 힘들다는 건 그만큼 리얼하다는 이야기고
몸빵해야 하는게 많다는건 애정도 미움도 상처도 열받는 일도 많아
그만큼 뜨거운 현장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니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이 그속에 있겠는가.
그런데도 아쉬운건 별거 아닌 상업영화 제작현장이야기는
별 사소한 이야기까지 관심을 쏟는 사람들이
이런 독립영화의 제작과정과 현장에는 관심이 없다는 것.
그래서 <산다>제작팀이 제작발표회를 생각했고
소박하게 각자의 장기를 모아 제작과정을 관심있는 사람들과 공유하고
마지막까지 제작이 잘 끝날 수 있도록 후원해주실분을 찾기위한 거였다.
한달전부터 이것저것 후원엽서를 비롯해서 준비를 시작했고
재주 많은 양미피디는 술과 잡채와 김치를
황혜림 피디와 조연출 아람은 열심히 홍보와 노가다를
KT의 왕언니 미영피디는 사람들을 조직 했다.
미례감독은 조용히 뒤에서 빠진 것들을 체크하고
나는 각자 맡은 일을 너무도 잘하는 그들을 지켜보는 재미에 빠졌었다.
그리고 당일 몇명이나 올지 가슴설레며 공간을 셋팅하고 준비하는 사이
불쑥 불쑥 빠진것들을 챙기느라 정신이 홀라당 나가버렸음에도
반가운 얼굴들이 나타날때마다 에너지가 조금씩 채워짐을 느꼈었다.
전화로 초대한 사람들보다 알아서 찾아와준 사람들이 더 많았고
그들 모두 작품에 대한 애정과 사랑이 느껴져 제작팀의 책임감도 당근 더해진다.
물론 가장 힘받고 가장 책임감을 느낄 사람은 누구보다 <산다>의 김미례 감독이겠지만
이런 제작발표회가 독립영화를 만드는 모든 친구들에게
그리고 독립영화를 사랑하는 모든 관객들에게 친근한 장소가 되었으면 좋겠다.
KT노동자들의 이야기지만 주인공들의 민감한 사안을 고려해서
영화의 주요내용은 자세히 언급되지 않았지만
정규직 노동자들의 이야기가 왜 이시대에 귀기울일 이야기인지는
고정갑희 선생님이나 조돈문선생님의 이야기와 더블어 풍성해 졌다.
다큐멘터리 영화는 그사회의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한편의 영화로 이야기되고 발견되는 많은 것들은
관심있는 사람들에게서 더 풍성한 이야기로 재탄생되리라 믿는다.
다시한번 <산다>제작발표회에 와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그리고 김미례 감독이<산다>를 완성하는 날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도 부탁드린다.
친환경으로 음식을 만드는 유선에게 특별히 주문한 브라우니와 주먹밥 그리고 발효빵이 주 메뉴였고 양미피디가 전날 뚝딱 만든 콩나물잡채와 김치 그리고 직접만든 맥주와 국화주,허니와인이 준비되어 있었다.
참석한 사람들을 보고 흐믓해 하는 김미례 감독.^^
이날 사회를 맡아준 서울독립영화제 사무국장 김동현.
프로젝트와 컴퓨터 연결을 준비하는 황혜림 피디.
KT새노조위원장 이해관. 이해관 위원장은 거의 감독처럼 일하고 김미례 감독은 위원장처럼 일한다는 소문이...ㅎ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의 고정갑희선생님과 이대 사회학과 조순경선생님, 카톨릭대 조돈문선생님,다양성포럼의 양기환사무국장,재일교포 김임만 감독,안해룡 감독,강석필 감독,홍형숙 감독,아오리 감독,인디플러스 허경 등을 비롯해서 많은 분들이 참석해 주었다.
지구지역 행동네트워크의 대표이자 한신대교수 고정갑희 선생님의 노동을 새롭게 봐야한다는 말씀.
옆모습의 이 남자는 4월에 있을 마지막 촬영을 해줄 최정순 촬영 감독.
김미례감독의 전작 외박의 주인공이자 현재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사무처장을 맡고 있는 눈물많은 애정녀 이경옥 전 홈에버노조 부위원장님.
<산다>를 제작중인 이날의 주인공 김미례 감독. 열심히 제작동기를 설명하고 있다. 김미례 화이링!!ㅎ
<산다> 제작팀의 황혜림 피디와 강양미 피디.
<산다> 제작팀의 인물관계도를 재밌게 피티로 준비를 해서 설명을 하는 양미. 전날 이거 준비한다고 밤을 꼴딱새고 비몽사몽...ㅋ
<산다>제작팀의 김미영피디. KT의 노동자이면서 <산다>의 프로듀서를 함께 맡아 제작팀의 든든한 힘이 되어주는 이쁜이.
이날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준 KT의 노동자들. 지방에서 오신분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산다>의 음악감독 김병오의 추천으로 축하공연을 해준 판소리 전문 노래패 바닥소리의 최용석님과 고수 조정희님.
나의 싸움은 지지않았다를 만든 안해룡감독의 응원메세지를 보내며 자신도빨리 새작업을 해야겠다는 다짐도.안해룡 화이팅!!
문화다양성 포럼의 양기환 사무국장, 시간이 길어지는 바람에 먼저 가려고 하는걸 붙잡아 끝내 한말씀 해주셨다.
동네친구이자 잼다큐 강정을 함께 만든 홍형숙 감독.이날도 동네차림으로 어슬렁 찾아와 결국 마지막 응원메세지와 함께 건배제의까지 많은걸 해주었다는. 홍형숙 감독은 현재 낭군 강석필 감독이 만든 <춤추는 숲>개봉을 위해 프로듀서로 열심히 뛰고 있다.<춤추는 숲>도 화이팅!!!
제작발표회가 끝나고 짐을 날라다 준 사람들이 다시 김미례 감독의 집에서 일잔. 제작발표회에서 남은 음식이 이시간 작살이 났다.양미피디가 만든 술을 맛보고 싶은 사람은 주문제작 가능하니 양미피디에게 연락하기 바람.^^ 제작팀들 모두모두 수고 많았습니다.<산다>가 멋지게 나올때까지 화이팅팅팅!!!
영화만들며 놀기<민들레>1999,<애국자게임>2001,<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2003,<쇼킹패밀리>2006,<잼다큐 강정>2011,<레드마리아>2011,모든영화 인디플러그(http://www.indieplug.net) 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음.
redsnowma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