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2.03.14 [한겨레] “일본군, 성 착취 뒤 위안부 결국 버렸을 것”
관련자료/위안부2012. 3. 14. 14:01
마쓰바라 씨가 직접 사용했던 위안소 출입증 사본. 오른쪽이 앞면, 왼쪽이 뒷면이다. 원본은 이쪽 링크(http://jpnews.kr/sub_read.html?uid=4576)에서 확인할 수 있다. ⓒJPNews/박철현



일제말 트럭군도 근무자 “위안부, 하루 10시간 15명 상대”
 
“일본군 외출 때 콘돔 주며 출입 부추겨…90%가 한국처녀”



<한겨레>가 일본 뉴스 전문 포털사이트 <제이피뉴스>(JPnews.kr)와 제휴해 일본 소식을 전달합니다. 전여옥 의원과 ‘일본은 없다’ 재판을 벌여 지난 1월13일 2심에서 승소한 재일 언론인 유재순씨가 <제이피뉴스>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제이피뉴스>는 전 일본인 군속 마쓰바라 마사루(85)로부터 일제시기 종군위안부와 관련한 생생한 증언을 얻었습니다. 원문을 보시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에 있는 바로가기를 누르시면 <제이피뉴스>의 해당 기사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제이피뉴스> 바로가기


일제 때 종군위안소가 일본군에 의해 직접 운영됐다는 증언이 전 일본인 군속에게서 나왔다. <제이피뉴스>는 23일 일제시대 때 트럭제도에서 근무했던 군속 마쓰바라 마사루(85)와의 인터뷰를 통해 당시 군 위안소 두곳을 군 부대에서 직접 관할했다고 보도했다. 지바현 아비코 시의 시민단체 ‘아비코 평화네트’ 회원인 그는 65년전인 1943년 11월부터 제국해군 제4함대 시설대대 군속(군무원)으로 태평양전쟁에 참전했었다.

마쓰바라는 그 증거로 당시 부대에서 발급한 출입증을 제시했다. “군 위안소 출입증”은 가로 5.8cm 세로 10.8cm 증명서로 ‘남국료출입증(南國寮出入証)’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것이다. 그는 당시 이 ‘남국료위안소’는 해군용이었으며, 이외에 육군이 이용하던 ‘남성료(南星寮)위안소’도 있었다고 증언했다.

마쓰바라 마사루 ⓒJPNews/야마모토히로키

마쓰바라는 특히 대부분 위안부는 거짓광고에 속아서 왔다고 증언했다. 모집공고에 위안부 모집이라는 것은 없고 장교 메이드(하녀) 구함 등의 거짓내용만 있었다는 것이다. 일본이 군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거나, 존재했더라도 민간이 운영한 공창제도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이 증언은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한일 평화단체들의 활동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쓰바라는 당시 트럭군도에는 평균 3만-4만명 가량의 육군과 해군이 주둔하고 있었으며, 육군과 해군이 각각 운용하던 두 군데의 위안소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위안부 규모는 한 군데에 50-60명씩 120명이었으나, 전쟁 말기로 가면서 각각 70명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한다.

그는 당시 위안부들이는 집단적으로 막사에서 생활하며 낮 12시부터 저녁 10시까지 '근무'했으며, 하루 14-15명의 군인들을 상대했다고 증언했다. 이들은 한달에 딱 한번 성병 검사를 할 때만 막사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고 증언했다.

또 마쓰바라는 일본 군대가 모집한 위안부들을 돌려보낼 의도는 없었다고 증언했다. 위안소를 작전지역에 설치한 뒤 작전이 끝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 부대만 옮기고 위안부들은 내팽개친 채 가버린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남겨진 위안부들은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죽어갈 수밖에 없다.

마쓰바라는 평화운동을 해오면서 위안소 문제를 고백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고 고백한다. 그는 <제이피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생각해보면 그녀들이 얼마나 두려웠을지…”라며 당시 종군위안부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나타냈다.


마쓰바라 씨가 직접 그린 당시 트럭제도 일대. 그의 증언에 따르면 지도 오른편에 보이는 나쓰시마(夏島)라는 곳에 두 곳의 위안소가 있었다고 한다.

마쓰바라 씨가 직접 그린 당시 트럭제도 일대. 그의 증언에 따르면 지도 오른편에 보이는 나쓰시마(夏島)라는 곳에 두 곳의 위안소가 있었다고 한다. ⓒJPNews



아래는 마쓰바라의 증언을 토대로 트럭 군도 종군위안소인 남국료위안소의 24시를 재구성한 것이다.

■ 위치

남태평양 트럭제도는 총 11개의 큰섬과 100여개의 무인도로 구성돼 있었다.

특히 제도의 오른쪽에 위치한 하루시마(春島), 나쓰시마(夏島), 아키시마(秋島), 후유시마(冬島)에는 군 부대와 그 부대를 위한 후방보급기지들이 들어서 있었는데, 두 개의 위안소는 후방보급기지들이 모여 있던 나쓰시마에 위치하고 있었다. 나쓰시마는 위안소 이외에도 유곽, 술집, 식당, 옷가게 등이 줄지어 들어서 있었다.

■ 군부대의 위안소 관할

이 두 위안소는 모두 군대가 관할했다. 이 가운데 남국료위안소는 그가 배속된 제4함대 시설부대인 하기와라 간이치 부대가 관할했다. 시설부대인 탓에 막사나 도로, 항만, 비행장 같은, 그러니까 토목건축 공사들을 진행했지만, 위안소 관리업무도 맡았다.


마쓰바라 씨가 발급되었던 위안소 출입증. 1943년 11월에 발급되었다고 한다. ⓒJPNews/야마모토히로키

■ 위안소 건물과 위안부의 방

남국료, 남성료는 둘 다 길다란 단층짜리 막사 대여섯동이 죽 나열된 형태였다. 1개 막사에는 보통 10개에서 12개 정도 방이 있는데, 위안소 주위에는 철책 같은 게 쳐져 있었다. 정문에 가서 출입증을 보여주면 들어갈 수 있었다. 외부에는 철책이 쳐져 있었고, 경비원이 철책 주변을 계속 돌았다.

막사의 각 동 내부구조를 보면, 길다란 복도가 하나 있고, 그 복도를 따라 조그만 방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각 방마다 몇호인지 적혀 있었다. 복도 끝은 공동으로 쓰는 세면장과 화장실이 위치한다. 방 크기는 하나당 약 2평 정도이고, 왼쪽 구석에 매트리스 침대가 하나 있고 조그만 탁자가 놓여 있었다.

방문을 열고 들어가면 왼쪽 구석에 얇은 판이 놓여져 있고, 그 위에 매트리스가 깔려져 있었다. 오른쪽 구석에는 위안부들이 자기 물건을 놔둘 수 있는 조그만 탁자가 있었고, 문 바로 옆에 경대도 있었다.

■ 위안부

위안부는 주로 18~25살 정도의 젊은 여성들로, 90%는 조선인, 10% 정도는 일본인이었다.

1943년 당시에는 두 위안소에 각 50~60명 정도씩 배채됐다. 하지만, 44년부터는 각각 70명 정도씩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대부분 고급장교의 메이드(하녀)를 모집한다든가, 병원에서 사무볼 사람을 찾는다는 내용의 모집공고에 속아서 찾아온 이들이었다. 게다가 모집광고에는 월급이 당시로서는 아주 좋은 30엔으로 제시됐으며, 숙박료도 식대도 필요없다고 유혹했다. 숙박료, 식대기 다 무료니까 아, 이돈 모아서 고향에 부쳐주면 되겠다는 그런 마음을 가지고 응모한 것이었다.

■ 성적 착취

위안부들의 '영업'시간은 기본적으로 낮 12시부터 22시까지다. 22시에 일단 영업은 끝나는데, 일반 사병들은 18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었다. 배를 타고 귀대해서 이것저것 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사관이나 장교, 군무원들은 22시까지 이용할 수 있었고, 또 자고가는 것도 허용이 됐다.

공휴일도 없었고, 한달에 한번씩 성병 검진이 있었다. 위안부 여성들은 이때만 영외로 나갈 수 있었다. 해군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해군병원은 위안소에서 한 2km 정도 떨어져 있었는데, 트럭으로 가면 금방 가지만, 걸어서 갔다. 어차피 도망가지 못하니까, 천천히 걸어가면서 시원한 공기도 좀 쐬라는 것이었다. 위안부 여성들도 그 때 만큼은 파라솔도 펴고 오랜만에 바깥구경을 한다고 즐거워했다.

훈련이 없을 땐 군인 수가 늘어나고, 바다에 나가면 줄어들었지만, 평균적으로 한명의 위안부가 하루 14-15명 정도의 군인을 상대했다.

■ 군인 외출 때 의무적으로 콘돔 지급

위안소 앞은 언제나 길게 줄이 늘어서 있었다. 남성료는 육군이 이용하고, 남국료는 해군이 이용했는데, 언제 출전할지 모르니까 그 전까지는 마음껏 즐기라는 분위기가 있었다.

군인들은 주로 하루시마, 아키시마, 후유시마 등에 주둔했는데, 조그만 배를 이용해 자주 나쓰시마를 방문했다. 꼭 위안소가 아니더라도 여러 가지 시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군대에서는 군인들이 외출할 때 꼭 콘돔을 2개씩 의무적으로 지급했다. 마치 위안소에 가라고 장려하는 듯했다.


마쓰바라 씨가 직접 그린 위안소 평면도. 왼쪽에 요금이라고 적혀진 곳이 요금접수대이다. 군인, 군속들은 요금소 앞에서 길게 줄 섰다. 요금을 내면 방 번호표를 받고 오른쪽 복도를 지나 지정된 방으로 들어간다. 방은 다다미 4장 정도의 크기로 가재도구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복도 끝에는 화장실이 있었다. ⓒJPNews/야마모토히로키

■ 군인들의 위안소 이용

군인들은 정문에 가서 출입증을 보여주고 들어갔다. 입구에서 1엔의 이용요금을 내고 가장 먼저 방 번호표를 받는다. 그 번호표를 주는 곳이 요금소라는 곳이다. 그 번호표를 들고 해당 번호가 적힌 위안부의 방을 찾아갔다.

■ 위안부의 운명

일본 군부는 위안부를 돌려보낼 생각이 없었다. 돌아가면 거짓말이 탄로나기 때문이다. 고향에 가면 모집공고가 거짓말인 것이 드러난다.

육군의 경우를 보면 작전지역에 위안소를 만든다. 작전기간 중에 짬을 내서 위안소를 이용한다. 그런데 작전이 끝나 후퇴를 해야 할 때 데려가지 않는다. 위안소도 위안부도 버리고 간다. 군대만 다른 지역으로 간다. 위안부들은 아무것도 없는 폐허가 된 땅에서 비참하게 죽어가게 된다.

 

 



>> 기사전체보기

Posted by 빨간경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