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일기2014. 9. 18. 00:46

영화를 만들면서 중요하게 느꼈던 지점

 

 

나는 영화를 늦게 시작했다. 학생운동을 거쳐 노동운동을 하면서 늘 대의에 가려진 팩트에 아쉬움과 답답함이 많았었다. 조직과 대의, 집단과 개인 사이에서 운동이 해 낼 수 있는 것들과 놓치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늘 글로써 많이 풀었고 해서 시인이나 소설가가 되야겠다는 생각을 늘 가슴에 안고 살았던 것 같다. 하지만 글을 쓰다보면 너무 앞서 갔고 늘 관념적이 되었다.나에게는 운동과는 다른 현장이 필요했었던 것 같다.영화는 그런 나에게 새로운 현장이 되어주었고 나는 운동이 놓치는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에 매료가 되었다.

 

30대 중반의 나이에 뒤늦게 뛰어든 영화는 드라마 같은 세상을 구체적인 현실로 경험하게 해주는 삶의 또 다른 시간이었다. 평소 게으르고 무지한데다 빈둥거리는 걸 좋아하는 나는 그 시간들을 통해 가장 치열한 고민을 하고 가장 생생한 공부를 했다. 무엇보다도 세상을 사는  다양한 즐거움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통해 경험하게 되었다. 그리고 내가 보고싶은 현장을 통해 내가 무엇에 더 관심이 있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많이 명쾌해 졌다.

 

처음 <민들레>를 만들면서는 사실 운동에 대한 대의적 미련들이 많이 혼재했던 시기였다. 내가 만드는 영화가 과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를 많이 고민했었고 창작과 운동사이에서 감독의 포지션이나 시선에 대한 내부적 충돌이 많았던 시기였다. 소박하게 인권영화를 만들겠다는 마음만 컸지 영화가 스스로 말하게 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던 것이다. 더구나 죽은 자식들 앞에 무서움이 없는 유가협의 부모님들과 그분들에게 사회가 부여해주는 도덕적 권력앞에 하고싶은 이야기들을 제대로 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가를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그건 마치 내가 운동의 대의가 놓치는 것들을 영화를 통해 다시한번 경험하게 되는 과정이었던 것 같다. 그 경험을 통해 나는 운동과 영화의 애매한 줄다리기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깨닫게 되었고 나름 다른방식으로 현장과 영화가 연결되는 방식을 도모했던 것 같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말처럼 새로운 생각은 새로운 영화적 형식과 내용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히 한 것 같다. 물론 늘 부족했고 늘 시도만 했던 것 같기는 하다.위에 언급한 다섯편의 영화는 그런 고민들의 결과로 만들어진 영화들이다.

 

하지만 영화로 세상을 바꾸고 싶다는 욕망이 없었던 건 아니다. 왜 이렇게도 세상은 변하지 않는 것일까.왜 세상은 이리도 답답한 것일까. 왜 진보운동은 진보하지 않는 것일까 등등의 질문들은 내영화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던게 사실이니 말이다. 때론 가족주의에 대한 질문이 때론 애국주의나 국가주의에 대한 질문들이 늘 나를 창작의 불길로 이끈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 내 영화는 사람이 많고 질문이 많고 여러개의 결들이 겹쳐있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하다보니 그리됐고 뒤돌아보니 내가 그런 스타일을 좋아하는구나 알게된 사실이긴하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단순화된 도식을 많이 싫어하는 것 같다. 그런면들이 자연스럽게 인간을 단순화시키는 생각이나 범주들을 파고들게 만드는 것 같고.

 

하지만 영화라는 세계는 너무 광활하고 담아야 할 이야기들은 넘쳐난다. 여전히 새 술이 필요하고 새 부대도 다시 필요해 진다.

'제작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유증  (0) 2014.10.28
한국의 다큐멘터리 감독들_경순 감독 기획전 원고1  (1) 2014.09.18
난감한 일정  (0) 2014.08.01
속내  (0) 2014.07.24
엄마와 나  (0) 2014.06.24
Posted by 빨간경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