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역사'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5.09.09 레드마리아2_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초청
  2. 2013.08.15 역사와 이미지 2
  3. 2013.08.09 역사를 보는 태도
상영정보2015. 9. 9. 16:33



2015 DMZ국제댜큐멘터리영화제 국제경쟁 부문 상영


상영정보

http://www.dmzdocs.com/program/program_view_2015.asp?p_idx=7&menu=2&category=2


시높시스

한국의 성노동자 연희는 일본성노동자들과의 연대를 위해 일본으로 떠난다. 일본의 야마시타 영애는 매춘부 출신의 위안부가 운동에서 배제됐던 과정을 강의하기 위해 교토로 향한다. 한국의 박유하 교수는 『제국의 위안부』라는 책을 출판하고 위안부할머니들에게 고소를 당한다. 르뽀작가 가와다 후미코씨는 오키나와에서 위안부생활을 했던 배봉기씨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들려준다.피해자가 되고 싶지 않은 성노동자들과 피해자도 될 수 없었던 매춘부출신의 위안부 문제가 교차되며 영화는 기억에서 사라진 이야기들을 하나씩 들춰낸다.


기획의도

나는 전작인 레드마리아를 만들면서 많은 성노동자들을 만났었다. 그들과의 만남은  사회에서 '대상'으로만 존재했던 그들을  곁에 있는  사람으로 마주하게  시간이었다. 어떤이는 싱글맘으로 아이를 제대로 키우기 위해 일을 한다 했고,  어떤 이는 어린 나이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시작했다가 지금까지 일을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어떤 이는  일이 가장 적성에 맞는 일이라고도 했다.

 

 성노동자에 대해 흔히들 상상하는 인신매매나 피해자 프레임으로는 담아낼  없는 많은 이야기가 있었지만,  당시 나는 카메라에 그들의 진짜 이야기를 담을 수가 없었다. 성매매특별법으로 단속이 심해지면서 카메라가 그들에게 위협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소리소문없이 사라졌고, 연락이 끊겼다. 뒤늦게 누구는 단속을 피해 호주로 갔으며, 누구는 안마시술소로 갔다는 말만 전해 들었다.  누구는 성매매 쉼터로 들어갔다가 결국 다시 다른 업소들을 전전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그중에는 자신이 성노동자임을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성노동자들도 있었다.

 

 나는 그들의 이야기를 담기로 결심하고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기 시작했다. 도대체 매춘이  사회에서 무엇이관데 이들이 범죄자가 되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료를 찾던 , 매춘에 대한 낙인이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많은 분들과도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당시 직업 매춘부였던 위안부들은 이후 위안부 운동에서 배제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들 중에는 가난한 부모에 의해 유곽으로 팔려갔다가 위안부로 가게  사람도 있었고, 결혼까지 하고도 취업사기로 끌려간 분들도 있었다. 또한, 가해국 일본에도 많은 위안부 여성들이 있었지만,  모든 분들은 매춘부라는 이름에 가려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불리지 못하였다.

 

  피해자가 되기를 거부하는 성노동자와 피해자조차   없었던 매춘부 출신의 위안부.  아이러니한 두 가지 문제를 직면하면서 나는 매춘혐오가 만들어내는 이중잣대에 놀랐고,  이야기를 계속 쫓아가 보기로 했다. 그리고  이중잣대의 윤리가 실상 많은 여성에게도 비슷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독 본인의 엄마가 들려준 삶의 이야기에서도 발견할  있었다. 여성의 역사를 기록한다는 것은 우선적으로  잣대를 벗겨내고 사실을 직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영화를 시작했다.


상영시간표

9/18(금) 18:00 메가박스 파주출판단지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9/20(일) 15:30 메가박스 백석 (상영 후 아티스트 토크)

9/23(수) 12:30 메가박스 백석

Posted by 빨간경순
제작일기2013. 8. 15. 12:29

어제 찍은 촬영본을 검토하고 오늘 찍을 내용들을 검토하다가 

그냥 사무실에서 잠이 들었다.

사무실에서 자면 늘 일찍 일어나게 되는지라 오늘도 일찍 일어나 

구내식당에서 2500원에 먹을 수 있는 밥을 기대하고 있었는데 

화장실에 가다보니 복도도 사무실도 온통 컴컴하다.

이건 뭐지 하면서도 오늘이 광복절이라는걸 깜빡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럴줄 알았으면 새벽에 먹을거라도 사다놓을걸 하면서 

커피한잔으로 아침을 대신하며 기사와 메일을 잠시 훑어본다.

그래 광복절이 맞긴 맞구나.


어제 위안부할머니들의 수요집회를 찍고 왔었다.

그곳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위안부피해자에 대한 일본의 배상과 사과를 요구하는

피켓과 나비부채를 들고 뜨거운 땡볕에도 불구하고 두시간정도를 앉아서

위안부문제가 해결되기를 기원했다.

그런데 수많은 취재진들 사이에서 참석하신 두 할머니를 보고있자니

마음이 착찹했다.

할머니들을 찍기위한 취재진의 경쟁을 보며 마치 연예인을 취재하는 듯한 

착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각을 해보았다.

저 많은 취재진들이 수많은 셔터를 눌러대면서 

고르고자 했던 이미지는 무엇이었을까 하는.


물론 우리는 그 이미지를 바로 그날 저녁 방송이나 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아주 오랫동안 봐왔던 그 이미지는 할머니들의 긴 역사중 

오로지 한시기의 상징으로만 고착되어 온 이미지이며

그 이미지로 우리는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를 바라보고 그것만을 기억할 것이다.

영화라는 것도 어찌보면 그런 이미지를 찾는 과정의 연속이기도 하다.

이미지를 어떻게 영화속에 각인화 하느냐에 따라 보는 이의 연상작용이 강화되기도 하고

해체되기도 할 것이기에.

그래서 영화는 무서운 각인이기도 하다.

역사도 비슷한거 같다.

마치 역사를 상징하는 몇개의 단어만으로도 우리의 의식은 가끔 아무런 의심도 없이

그것이 사실이었던 것처럼 믿고 있으니.


그래서 나는 역사를 들춰보는거 별로 안좋아한다.

역사의기술이라는 것이 늘 찾은 만큼의 자료를 통해 유추하고 해석하는 것일뿐

내가 알고싶은 민중의 시선이나 여성의 시선이라는 건 

늘 소소한 발견과 해석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올바른 교과서라는 것도 엄밀히 따져보면

남성의 역사의 이쪽과 저쪽의 시선으로 보는 일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문득 어제 참석한 수많은 여고생들의모습이 생각난다.

그들이 보는 역사란 무엇일까 하는.

그리고 그들이 암기하고 정답이라고 배우는 역사는 무엇일까 하는.

나도 한때는 그것을 암기했고 그것이 정답이라고 믿었던 시기가 있었기에.

물론 암기에 약한 나는 틀린 답을 많이 써내고는 했지만.


레드마리아 두번째 이야기는 그렇게 역사를 좋아하지 않던 내가 역사를 바라보는 이야기다.

왜냐하면 내가 궁금한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이미지화되지 않은 혹은 각인되지 않은 여성의 역사다.

여성의 역사라는 것도 발견되지 않고 묻혀있는 것이 훨씬 많기에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도 만만치가 않다.

그런데 문득 나도 내 영화의 끝이 궁금해졌다.

과연 내가 보고자 하는 이미지는 어떤 것이고 어떤 이미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일지.

창밖을 보니 벌써 해가 중천이다.

촬영 나갈 시간이네.




'제작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취재 준비  (0) 2013.08.22
부적2  (0) 2013.08.20
성노동자와 위안부  (0) 2013.08.10
역사를 보는 태도  (0) 2013.08.09
반가운 윤곽  (0) 2013.08.07
Posted by 빨간경순
제작일기2013. 8. 9. 01:12

오래전 엄마와 많이 부딪힌 문제 중 하나가 늘 전달되는 말때문이었다.

늘 다른이로부터 들은 이야기로 기분나뻐하고 화를냈던 엄마에게

일일이 설명하는 일이 화가났고 한두번이 아니기에 결국 그런 일이 생기면 

나는 무시해버리는 것으로 대처를 했다.

그런 무시가 엄마를 다시 화나게 하거나 기분나쁘게 했는데

정작 엄마는 한번도 내가 왜 그렇게 대하는지는 물으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엄마가 그런태도를 바꾼건 아주 오랜시간이 흐른후였다.


말은 원래 그렇다.

본인이 한 말의 의도가 한사람을 건너 전해지면

그건 팩트의 무게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니 그무게에 감정까지 얹혀지면 대책이 없다.

변명을 하거나 팩트와 다른 거짓말을 하거나. 

그래서 나는 전달된 말은 그만큼의 무게로 듣는다.

그말이 누군가를 칭찬하는 말이든 비난하는 말이든 그리고

설사 그말이 나와 관련된 말일지라도 그말에 오바하거나 

서운해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뿐.


그래서 나를 잘아는 친구들이나 같이 일하던 친구들 중 

이따금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는데

자신이 들은 말을 나한테 옮기지 않거나

내가 한말을 옮기지 않았다는걸 뒤늦게 알게될때다.

근데 그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그들이 고맙고 감사한 것이다.

근데 종종 그런 일은 계속 벌어진다.

그것도 해결을 위한 자세가 아니라 자신의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방식으로.

참 안타까운 일이다.

근데 그것이 역사일 경우에는 얼마나 심각할까.

출발은 사실관계를 따지고 나름 객관적인 진실을 파헤치고자 하는 것이지만

이미 출발이 어떤 입장과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방식이라면 결론은 그에 걸맞게 쌓여가기 마련이다.

그래서 인터뷰도 질문을 어떻게 던지는가가 매우 중요한데

진보든 우익이든 기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가관도 이런 가관이 없는 것이다.


역사를보는 시각도 그렇다.

내가 보고싶은 역사가 무엇이고

내가 추적해보고 싶은 역사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출발과 시각은 엄청 달라진다.

그래서 과연 올바른 교과서라는게 얼마나 가능한 일인지 잘 모르겠다.

세계사를 볼때도 그것을 쓴 사람에 따라 새로운 분석틀이 있기 마련이고

새로운 발견이나 시각으로 쓰여진 책이 나올때마다 논쟁도 하고 비교분석도 하지만

그 어느것도 불변의 역사인것은 없다.다만 새롭게 역사를 해석하는 방식이

조금씩 늘어나는 것 아닐까 생각해 볼뿐.


그러니 여성의 역사를 추적해 본다는건 얼마나 많은 난관이 있을까.

오늘 이런저런 자료를 들추어 보면서 들춰봐야 할 것들이 하나씩 끝도없이 나와 머리가 좀 아프다.

새로운 고민을 해본다는 건 즐거운 일이나 한편으로는 즐거움 보다 

부딪혀야 할 산이 생각보다 훨씬 높겠구나 하는 생각에.

부딪혀야 할 산이란 이미 무장되어있는 신념과 시선의 벽이다.

나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하지만 역사에 관심이 없던 한 사람이 

역사에 관심을 가지면서 견지해야 할 태도는 무엇일까 새삼 많은 생각이 든다.

그것도 천천히 알아가는 것이 바로 영화의 시선이고 태도가 아닐른지.

  

'제작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와 이미지  (2) 2013.08.15
성노동자와 위안부  (0) 2013.08.10
반가운 윤곽  (0) 2013.08.07
부적  (0) 2013.07.25
<산다2013>은 지금 편집중  (2) 2013.07.22
Posted by 빨간경순